-> 블로그 이전

[DB] 3단계 데이터베이스 구조

2021. 10. 11. 19:47Major`/DB

목차

    ANSI/SPARC Architecture (Consists Of 3 Steps) - 대부분의 상용 DBMS 구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아키텍처

    - 외부 단계(External) or 뷰 단계(View)

    - 개념 단계(Conceptual) or 논리 단계(Logical)

    - 내부 단계(Internal) or 물리 단계(Physical)

     

    ※ 스키마(Schema) :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 구조를 정의한 것

    ※ 인스턴스(Instance) : 스키마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실제로 저장된 값

     

    외부(뷰) 단계 : 데이터베이스를 개별 사용자 관점에서 이해하고 표현하는 단계

    - 데이터베이스의 각 사용자가 갖는 뷰

    - 데이터베이스의 일부분에만 관심을 가짐

    - 하나의 DB에는 여러 개의 외부 스키마가 존재

     

    개념(논리) 단계 : 데이터베이스를 조직 전체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표현하는 단계

    -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인 구조 정의

    - 하나의 DB에는 1개의 개념 스키마가 존재

    - 저장장치에 독립적으로 기술됨 : 데이터 간의 관계 / 제약사항 / 무결성에 대한 내용이 포함

     

    내부(물리) 단계 : 데이터베이스를 저장 장치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표현하는 단계

    - 물리적 저장 장치에 데이터베이스가 실제로 저장되는 방법의 표현

    - 하나의 DB에는 1개의 내부 스키마가 존재

    - 데이터 필드 크기 / 데이터 접근 경로 / 데이터 압축 등 물리적 저장 구조 정의

    데이터 독립성 : 하위 스키마를 변경하더라도 상위 스키마가 영향을 받지 않는 특성 

    - 외부 스키마 = 상위 / 추상화 수준 높음

    - 내부 스키마 = 하위 / 추상화 수준 낮음

     

    ※ 논리적 데이터 독립성

    - 외부 단계와 개념 단계 사이의 독립성

    - 개념 스키마가 변경되어도 외부 스키마는 영향을 받지 않음

    - 논리적 데이터구조를 변경시켜도 응용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

     

    ※ 물리적 데이터 독립성

    - 개념 단계와 내부 단계 사이의 독립성

    - 내부 스키마가 변경(예 : 데이터 저장 위치 변경 등) 되어도 개념 스키마는 영향을 받지 않음

    - 물리적 데이터 구조를 변경 시켜도 응용 프로그램, 논리적 데이터 구조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.